Informazioni su 의학용어 - 보건의료용어표준
Terminologia medica, diagnosi, pratica medica, esame clinico, radiologia, odontoiatria, assistenza sanitaria, infermieristica, medicina orientale, corpo umano e immagini mediche
보건의료용어표준이란?
보건의료용어표준은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보장을 위하여 다양하게 표현되는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의미를 지원할 수 있도록 개념화(대표어·동의어)한 용어체계입니다. 【 보건의료기본법 제3조, 제57조 】
【 특징 】
보건의료분야의 포괄적인 기초데이터
진료기록 작성에 필요한 진단, 행위, 검사, 간호, 치과, 보건 등 보건의료분야 용어의 집합
개념(Concept) 기반의 통합형 용어체계 구성
같은 개념을 서로 다른 용어로 표현하더라도 같은 의미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조화(대표어·동의어)
국제표준과의 상호 호환을 위해 UMLS의 개념(CUI) 코드 및 국제표준검사용어(LOINC) 등 코드부여
* UMLS (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) : 미국 국립의학도서관(NLM)에서 운영·관리하는 약 170여개의 의학관련 용어집, 분류표 등을 연계한 통합의학용어시스템 -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(KCD) 및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코드(EDI)와 상호 연계코드 부여
【 고시내용 】
(용어) '영어-한글' 쌍을 개념기준으로 정의 (320,993개)
- 항목 : 용어코드, 개념코드, 영문명, 한글명, UMLS, 버전, 참조코드
(그림) 해부학그림 및 의료행위, 기록, 설명 그림 (540종)
【 분야별 세부내용】
1.진단용어(78,177)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(KCD) 및 의료현장 임상용어로 구성
2.의료행위용어(20,493) 국제의료행위분류(ICD-9-CM volume Ⅲ) 및 의료현장 임상용어로 구성
3.임상검사용어(98,163) 국제병리검사용어체계(LOINC) 기반으로 구축, 6개 축으로 구분 표기
4. 방사선의학용어(17,236)영상의학과 핵의학 분야 검사·시술 용어로 구성, 3개 축으로 구분 표기
5.치과용어(10,483) 한국표준질병 사인분류(KCD) 및 국제의료행위분류(ICD-9-CM), 미국치과의료행위용어(CDT)로 구성
6. 보건용어(3,406)지역보건법, 보건사업지침 기반의 보건소 업무관련 용어로 구성
7.간호용어 및 진술문(11,052)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(ICNP) 기반의 간호용어 및 임상간호체계(CCC) 진술문으로 구성
8. 한의학용어 (375) 인체 14경맥 및 361개 경혈명칭으로 구성
9. 의학용어(93,343) 의학용어집, 주호소, 기초코드항목, 의무기록용 용어, 건강관리용어 등
10. 진료용그림(540) 진료와 의료행위 기록에 필요한 인체그림(체형·골격,머리·목,장기·계통)과 진단·기록용 그림
[출처] - 공공누리 제 1유형, (재)한국보건의료정보원 보건의료용어표준 공공저작물 활용
What's new in the latest 1.0
Informazioni sull'APK 의학용어 - 보건의료용어표준
Vecchie versioni di 의학용어 - 보건의료용어표준
의학용어 - 보건의료용어표준 1.0

Download super veloce e sicuro tramite l'app APKPure
Basta un clic per installare i file XAPK/APK su Android!